[고린도전서 13장 1-13절] 1 내가 사람의 모든 말과 천사의 말을 할 수 있을지라도, 내게 사…
230115 그리스도와 사귐으로 부르심
[설교요약] “소명”은 대개 “사명”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고린도전서의 서두에서 바울은 교회가 성도로, 그리스도와 사귐으로 부르심(소명) 받았다고 말한다. 우리에게 시작된 거룩함이 완성을 향해 나아가는 여정에서 우리는 그리스도와 친밀한 사귐을 이어간다. 그 사귐 속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음성을 들을 뿐 아니라 나 자신에 관해서도 더 잘 알게 된다. 그리고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도 자연스럽게 알게 되고 그 일이 주님의 이끄심으로 이루어져 감을 경험하게 된다. 주님의 음성을 듣기 위해서는 우리의 기도가 바뀌어야 한다. 렉시오 디비나, 성찰기도, 예수기도 등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하나님의 음성을 식별하는 법에 관해서는 달라스 윌라드의 책 『하나님의 음성』을 참조할 수 있다.
230115 그리스도와 사귐으로 부르심
[설교요약] “소명”은 대개 “사명”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고린도전서의 서두에서 바울은 교회가 성도로, 그리스도와 사귐으로 부르심(소명) 받았다고 말한다. 우리에게 시작된 거룩함이 완성을 향해 나아가는 여정에서 우리는 그리스도와 친밀한 사귐을 이어간다. 그 사귐 속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음성을 들을 뿐 아니라 나 자신에 관해서도 더 잘 알게 된다. 그리고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도 자연스럽게 알게 되고 그 일이 주님의 이끄심으로 이루어져 감을 경험하게 된다. 주님의 음성을 듣기 위해서는 우리의 기도가 바뀌어야 한다. 렉시오 디비나, 성찰기도, 예수기도 등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하나님의 음성을 식별하는 법에 관해서는 달라스 윌라드의 책 『하나님의 음성』을 참조할 수 있다.
181216 고린도전서(16) 공동체와 자유 (고전 6:12, 10:23)
[설교요약] 고린도 교인들 가운데는 자유와 방종을 혼종하는 이들이 있었다. 그들의 주장은 “모든 것이 허용된다”는 것이다. 그에 대해 예상되는 일반적인 반응은 “허용되지 않는 것도 있다”일 것이다. 그러나 바울은 그렇게 대응하지 않는다. 바울은 놀랍게도 그들의 과감한 주장을 받아들이며, 거기에 단서를 덧붙인다. “그러나 모든 것이 유익한 것은 아니다.”“모든 것이 교회를 세우는 것은 아니다.” 바울의 윤리는 율법이 아니라 자유로부터 출발한다. 그러나 우리의 자유는 “이미”와 “이직”의 긴장 속에 있는 불완전한 자유이다. 그래서 그것을 보완할 윤리 규범이 필요하다. 자유란 알아서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뜻을 알아야 하며, 그 뜻대로 살려는 의지와 그것을 이룰 수 있는 실천능력이 있어야 한다. 자유인으로서의 성장은 그 앎과 의지와 실천능력의 성장이다.
181209 고린도전서(15) 부활의 몸 (고전 15:35-58)
[설교요약]플라톤의 영혼불멸설의 영향을 받은 일부 고린도 교인들은 “죽은 자들의 부활”을 받아들이지 못했다. 그들을 향해 바울은 씨앗이 뿌려지고 죽고 다른 형태의 몸으로 살아나는 것처럼, 우리도 혼적인 몸(죽을 몸)으로 심고 영적인 몸(죽지 않을 몸)으로 살아난다고 말한다. 혼적인 몸과 영적인 몸을 잇는 것은 영혼이 아니다. 죽음 몸이 죽지 않음을 입는 것이다. 몸과 영혼은 하나이다. 죽을 몸과 죽지 않을 몸을 구별하는 근본적인 차이는 몸의 구성 성분이 아니다. 그것은 아담과 그리스도의 대조이다. 아담의 범죄로 인해 인간이 죽음의 운명에 놓였기 때문이다. 그것은 하나님의 나라를 따르느냐 아니면 파라오의 질서를 따르느냐의 차이이다. 부활이란 단지 다시 살아나는 것이 아니라 죽지 않을 몸으로 변화되는 것이다. 그 변화 곧 부활은 우리에게 이미 시작되었다.
181202 고린도전서(14) 부활의 시작 (고전 15:20-26)
[설교요약]예수는 메시아이실 뿐 아니라, 고난받는 종이며, 하나님의 나라를 가져오신 인자이기도 하다. 예수를 따르던 자들이 예수가 바로 그분이심을 알아보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부활이다. 그들은 예수의 부활이 다니엘서가 예고하는 종말의 부활의 시작, 곧 부활의 첫 열매임을 깨달았다. 예수와 함께 종말이 시작된 것이다. 그것이 기독교 신앙의 출발이다. 교회는 종말의 시작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종말의 완성과 함께 끝난다. 그래서 기독교 신앙은 처음부터 끝까지 종말신앙이다. 그것은 종말을 기다리며 사는 것이 아니라 이미 시작된 종말을 사는 것이다. 그 종말은 죽음의 종말이다. 부활은 단지 죽은 사람이 다시 살아남으로 그치지 않는다. 부활은 곧 죽음의 멸망이다. 종말을 사는 것은 부활의 생명으로 사는 것이다.
181125 고린도전서(13) 사랑은 영원합니다 (고전 13:8-10; 엡 4:11-12)
[설교요약] 예언도 방언도 지식도 그리고 그 어떤 은사도 한시적이다. 천국에는 더 이상의 가르침이나 권면도 섬김이나 나눔이나 자선도 필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천국에는 결핍이 없기 때문이다. 결핍이 없다면 사랑도 필요없는 것 아닐까? 그렇지 않다. 결핍에서 시작되어 그것을 채워줄 대상을 향하는 것이 에로스의 사랑이다. 에리히 프롬은 사랑이 대상의 문제가 아니라 주체의 문제임을 바로 보았다. 인간의 소외를 해결하는 길이 사랑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프롬의 사랑 역시 결핍에서 출발한다. 하나님의 사랑은 인간의 타락으로 결핍이 시작되기 전부터 존재했다. 삼위일체 하나님을 서로 이어주는 것이 사랑이다. 그리고 사랑은 천국에서도 계속될 것이다. 그 사랑을 이 땅에 선취하는 것이 그리스도인의 삶이다.
181118 고린도전서(12) 아가페 (고전 12:31-13:7)
[설교요약] 사랑을 뜻하는 헬라어 아가페는 동시에 초대교회의 애찬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했다. 고린도전서 13장이 보여주는 사랑 곧 아가페의 길은 우리교회의 애찬 곧 아가페가 나아갈 길이기도 하다. 사랑은 오래 참는다. 잘하는 사람이 못하는 사람을 참아주어야 한다. 사랑은 친절하다. 수고한 봉사자들에게 감사를 표현하는 친절을 잊지 말자. 시기하고 뽐내고 교만한 것은 비교에서 시작된다. 다른 조와 비교하지 말자. 사랑은 무례하지 않다. 무례함이란 다른 사람의 사랑을 강요하는 것이다. 사랑은 자기의 방식을 고집하지 않는다. 애찬을 어떤 방식으로 하느냐보다 더 중요한 것은 애찬에 어떻게 사랑을 담아내느냐이다. 사랑은 서로를 믿어주며 같은 목표를 바라보며 같은 소망을 품는 것이다. 더 성숙한 그루터기교회를 함께 소망하며 애찬에 함께 사랑을 담아보자.
181111 고린도전서(11) 그리스도의 몸의 함의 (고전 12:11-37)
[설교요약]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다. 공동체를 몸에 비유하는 것은 바울 당시 고대 로마 사회에서도 종종 볼 수 있었다. 그 비유는 주로 사회적으로 낮은 계급의 사람들로 하여금 계급 질서를 받아들이고 순응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러나 바울은 그와 다른 방식으로 몸의 비유를 사용한다. 고린도전서의 비유는 공동체의 다양성과 각 지체들의 가치를 강조하며, 교회 내의 영향력 있는 사람들과 높은 계급의 사람들을 향한다. 주목할 것은 바울이 교회를 그리스도와 동일시한다는 점이다. 하나님이 예수를 통해 성육신 하셨듯이, 오늘날은 교회를 통하여 자신을 드러내신다. 과거에 그리스도께서 하셨던 일을 지금은 교회가 하도록 기대된다. 그것은 하나님의 나라를 말로 선포하며 교회의 삶으로 하나님의 나라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것은 교회 내에 존재하는 파라오의 질서에 대항하는 일로부터 시작된다.
181104 “고린도전서(10) 주님의 만찬” (고전 11:17-34)
[설교요약]성찬성례전의 제정사로 많이 사용되는 고린도전서 11:23-26은 본래, 예전화 된 성찬이 아니라, 고린도교회의 애찬에 적용된 말씀이다. 바울은 애찬을 “주님의 만찬”이라 부르며, “그리스도의 몸의 코이노니”와 “그리스도의 피의 코이노니아”로 여긴다. 그러나 고린도교회에서는 그 코이노니아가 오히려 분열의 씨앗이 되고 있었다. 그것은 부자들과 가난한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난 차별인데, 애찬을 할 때 집 주인과 부자들은 트리클리니움에 둘러앉아 좋은 음식과 술을 나누고 가난한 사람들은 아트리움에 서서 빈약한 음식을 나누거나 아예 굶기까지 하는 일들이 일어나고 있었던 것이다. 애찬이란 단지 배고픔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애찬은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나누는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먹는 것이 곧 우리의 존재이다. 그래서 우리는 그리스도의 몸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