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210214 창세기(30) 주 달려 죽은 십자가 (창 12:1-3)

[설교요약]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에게 그의 후손을 큰 민족으로 만들고 그들에게 가나안 땅을 주시겠다고 약속하셨다. 이 약속은 출애굽 후 가나안 입성을 통해 구체적으로 실현된다. 그런데 그 종족학살을 통한 점령 과정의 이미지가 너무 강력하고 충격적이다 보니 그것이 구약성경과 아브라함 이야기를 읽는 관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아브라함에게 주신 약속은 다르다. 창세기는 11장에 나온 “백성”(암)이 아니라 10장에 나온 “민족”(고이)와 “종족”(미슈파하)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많은 민족과 종족 사이에서 샬롬을 이루어 공존하는 나라를 그려주신다. 하나님은 아브라함의 후손이 “큰” 나라가 되게 하시고 “크게” 이름을 떨치게 하실 것이나, 바벨이라는 도시와는 다른 방법으로 그리하실 것이다. 창세기는 가나안 땅에 이미 살고 있던 사람들의 존재를 인정한다. 모든 민족이 아브라함으로 인해 복을 받을 것이다.

210207 창세기(29) 하나님이 기대하시는 나라 (창11:27-12:3)

[설교요약]비옥한 초승달 지대는 고대 근동 세계의 주요 무대이다. 여기에서 중심은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이고, 그 사이에 있는 레반트는 양대 제국의 대리전쟁터였다. 그러나 하나님은 아브라함을 레반트의 한 지역인 가나안으로 보내셔서 그의 백성의 나라를 세우게 하셨다. 그것은 바벨이라는 도시와 대조되는 나라이다. 하나님은 샬롬을 창조하시나, 사람들은 그것을 질서로 바꾼다. 하나님은 바벨이라는 도시를 흩으시고, 아브라함과 함께 다시 살롬을 창조하신다.

210124 창세기(27) 노아의 후손 (창9:18-10:32; 11:10-32)

[설교요약]미국 역사 초기 백인들은 노아의 세 아들 이야기를 이용하여 흑인 노예 제도를 정당화 하려 했다. 함의 후손인 흑인들이 야벳의 후손인 백인들을 섬기는 것이 성경에 이미 예정된 일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것은 성경 본문과 문자적으로 불일치한다. 창세기 10장에 나오는 셈과 함과 야벳의 족보는 그 세 아들이 인종의 구분과 무관함을 잘 보여준다. 노아가 저주한 대상은 함이 아니라 함의 아들 가나안이다. 이것은 이스라엘의 가나안 지배와도 무관하다. 두 가지 기준으로 우리의 성서 해석을 성찰해 볼 필요가 있다. (1) 본문이 허용하는 해석인가? (2) 성서 해석이 결과적으로 어떤 사람들에 대한 지배나 차별을 정당화 하고 있지는 않은가?

200110 창세기(25) 무지개 언약: 생명 존중 (창 9:1-17)

[설교요약]돌아감의 목표는 언약이다. 하나님은 노아의 홍수가 끝난 후 창조의 언약을 갱신하셨다. 이 무지개 언약에서 하나님은 사람 뿐 아니라 모든 생물을 언약의 대상으로 삼으셨다. 그리고 다시는 사람으로 인해 모든 생물을 멸하지 않으시겠다고 약속하셨다. 이 언약에서 하나님은 사람에게 육식을 허용하시되 고기를 피채 먹지는 말라고 명하셨다. 그것은 생명을 존중하라는 요구이다. 육식에 대한 허용이 약육강식에 대한 허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식탁에서 창조의 샬롬을 이루자.

201220 창세기(22) 다시 처음으로 (창 7:1-24)

[설교요약]노아의 홍수 이야기는 창세기의 종말론이다. 하늘의 창문이 열려 “하맙불” 곧 궁창 위에 있던 물이 쏟아져 내리고 깊음(트홈)의 샘들이 터져 지표면으로 물이 올라왔다. 그 결과 온 땅은 물로 덮인 창조 이전의 상태로 돌아갔다. 그 때 칠흙 같은 어둠 속에서 물 위에 하나님의 영이 움직이고 계셨다. 홍수가 난 후 물 위에는 방주가 떠다니고 있었다. 노아의 홍수는 하나님께서 은혜를 거두어가신 사건이었다. 그 은혜는 생명의 은혜이며 창조세계의 은혜였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은혜에 반응하는 삶을 살자.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자. 크리스마스는 하맙불 위에 계시던 하나님 사람이 되어, 홍수(하맙불)로 멸망 할 세상 속에 들어오심으로써 은혜에 반응하는 삶의 모범을 보여주신 사건이다.

201213 창세기(21) 노아: 은혜를 입은 자 (창 6:5-22)

[설교요약]노아의 홍수는 하나님께서 창조를 돌이키심으로 일어난 사건이다. 하나님도 하신 일을 돌이키시는가? 그것은 하나님과 사람이 선택의 자유에 기반한 언약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노아는 하나님의 은혜를 입은 자였다. 그것은 오직 노아만이 하나님의 은혜를 인정하고 언약에 신실했다는 뜻이다. 인류문명은 욕망의 분모를 조절하지 않은 채 소유이 분자를 늘여 만족을 극대화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해 왔다, 최근의 소비경제는 소비를 늘이기 위해 사람의 욕망을 더 자극한다. 사람을 만족하지 못하게 하고 행복하지 못하게 한다. 그리고 자연 자원을 무한 개발하려 한다. 이것은 은혜의 인식에 기반한 감사의 삶과는 반대되는 것이다. 은혜를 알고 욕망을 조절하여 자족하는 방향으로 인류의 길을 바꾸어야 한다.

201206 창세기(20) 영원한 삶의 욕망(창 6:1-4)

[설교요약]
“하나님의 아들들”은 천상적 존재들을 가리키는 숙어적 표현이다(시 29:1; 욥 1:6; 단 3:25). 본문은 천상적 존재들과 사람의 딸들과의 결혼이 강제적 또는 폭력적이었다거나 전자의 주도에 의한 것이었다고 말하지 않는다. 오히려 사람들은 천상적 존재와 혼인 관계를 맺음으로 불멸을 획득하고자 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 결과는 네피림이라는 돌연변이였을 뿐이며, 영생으로부터는 오히려 더 멀어졌다(3절). 욕망에 지배당한 채 영원히 사는 것은 결코 복이 아니다. 오히려 우리 인생의 한 점은 하나님의 영원이라는 무한한 선의 일부임을 기억하자.

201129 창세기(19) 리셋 (창 4:25-5:32)

[설교요약]
하나님은 죄의 지배가 확산되는 인류역사에 두 가지 방식으로 개입하셔서 인류를 새롭게 하신다. (1) 인류 역사가 타락해 가는 과정에서도 하나님은 끊임없이 은혜를 베푸시고 회개할 기회를 주신다. 그러나 인류는 죄의 지배 속으로 더 깊이 빠져들어 돌이킬 수 없는 지경에 이른다. (2) 그 때 하나님이 더 적극적으로 개입하셔서 새로운 인류를 창조하시고 그들과 함께 새로운 역사를 시작하신다(노아). (3) 그 과정은 죄가 편만하던 시대에 이미 시작된다(셋). 하나님께서 셋과 함께 리셋을 시작하셨다. 코비드 팬데믹은 인류의 리셋을 요구한다. 그리고 하나님은 그 일에 쓰임 받을 새로운 인류를 찾으신다. 대림절과 함께 교회력의 새해가 시작된다. 새로운 시작의 기회로 삼자.

201115 창세기(18) 가인이 두려워한 사람들은 누구일까? (창 4:13-24)

[설교요약]
가인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죽일까 두려워한다. 그러나 그 시점에 사람은 아담, 하와, 가인, 세 명뿐이지 않았나? 우리가 성경의 사람들과 다른 전제를 가지고 읽기 때문에 이 점이 문제시 되는 것이다. 그것은 역사적 사실성의 전제인데, 이 전제는 내재의 한계 속에 있다. 그러나 에덴 동산은 내재를 초월한 시공간이다. 창세기에는 창조가 종말의 전망과 연결되어 있다. 창조 이야기는 단순한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라 오늘의 이야기이자 내일의 이야기이며, 그 이야기 속의 인물과 사건들은 인류 역사를 대표하는 원형이다. 그 이야기는 죄의 지배가 사람들 사이에서 어떻게 확산되는지를 보여준다.

201108 창세기(17) 죄를 다스리라 (창 4:1-16)

실낙원 이후 우리는 두 가지 방법 곧 예배와 윤리적 삶으로 하나님의 은혜에 응답한다. 가인은 그 두 가지에 모두 실패했다. 이 이야기에 “죄”가 창세기에서 처음으로 등장한다. 죄는 우리를 지배하려 한다. 죄를 다스려야 한다. 그러나 가인은 죄의 지배에 굴복하고 말았다. 그럴 수도 있다. 회개하고 다음에 잘하면 된다. 그러나 가인은 반복된 하나님의 손길을 뿌리쳤다. 그 결과 그는 그의 존재의 근원인 땅으로부터 추방되었고, 보복의 두려움 속에 살게 되었다. 그러나 하나님은 보복의 악순환을 끊으신다. 하나님은 변함없이 신실하신 분이시다. 우리도 예배와 삶으로 그분께 신실함을 다하자.

주일 예배 안내

2025년 1월 26일 오전 11시

설교자: 안용성 목사

본문:   사도행전 17:16-34

제목:   사도행전(30) 아레오바고